단순 정보

란돌트 고리

란돌트 고리는 시력 검사표에서 보는 작은 C자 모양, 글자를 몰라도 누구나 방향만 맞추면 정확한 시력을 알 수 있는 국제 표준 기호

-
개발자 부계정 1
    란돌트 고리

    ✨ 의미

    란돌트 고리(Landolt C)는 우리가 안과나 보건소, 학교에서 시력 검사를 할 때 자주 만나는 C자 모양의 기호다. 동그란 원에서 한쪽이 끊어진 작은 고리(즉, C자)로 이 끊어진 부분이 위, 아래, 왼쪽, 오른쪽, 대각선 등 여러 방향으로 제시된다. 검사받는 사람은 고리의 끊어진 방향을 맞추면 글자를 몰라도 어린이·외국인·노인 등 누구나 정확하게 시력을 측정할 수 있다.

    📌 어원

    란돌트 고리는 1888년 스위스 출신 프랑스 안과의사 에드문트 란돌트(Edmund Landolt)가 고안했다. 1909년 국제안과학회에서 시력 측정의 국제 표준 기호로 채택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. 고리는 영어로 ring, C는 고리의 모양에서 따온 이름이다.

    📮 참고

    란돌트 고리는 고리의 전체 지름과 끊어진 부분의 폭이 5:1 비율로 설계되어 시력 1.0은 5m 거리에서 1.5mm 폭의 간격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. 글자나 숫자 시표보다 언어·문화 영향을 덜 받아 어린이, 문맹, 외국인 등 누구나 쉽게 시력검사를 받을 수 있다. 실제로 안과나 보건소, 학교 시력 검사표에서 한 번쯤은 꼭 본 적 있는 눈 건강을 확인하는 대표적 기호다.

    © 2024. 1-blue All rights reserved